부도탑
부휴 선수(浮休 善修, 1543∼1615)

조선 중기의 고승. 성은 김씨. 호는 부휴(浮休). 남원출신. 아버지는 적산(積山), 어머니는 이씨이다. 어머니가 신승(神僧)으로부터 원주(圓珠)를 받는 태몽을 꾸었으며, 어릴 때부터 비린내를 좋아하지 않았다. 20세에 부모의 허락을 얻어 지리산으로 들어가서 신명(信明)의 제자가 되었고, 그 뒤 부용 영관(芙蓉 靈觀, 1485~1571)의 밑에서 수도하여 심요(心要)를 얻었다.

그 뒤 덕유산·가야산·속리산·금강산 등의 이름있는 사찰에서 더욱 수행정진하다가 서울로 가서 노수신(盧守愼)의 장서를 7년 동안 읽었다. 필법은 왕희지체를 익혔는데, 사명당(四溟堂 )과 함께 당대의 2난(二難)이라 불렸다. 그 뒤 임진왜란이 일어나 덕유산 초암에 은신하고 있었는데, 왜적 수십명이 몰려와 차수(叉手)하고 서 있는 부휴스님을 칼로 치려고 하였으나 태연부동하였다. 왜적들은 그 모습을 보고 매우 놀라며 기이하게 여겨 절하고 물러갔다.

그 뒤 가야산 해인사에 머물고 있을 때 명나라 장수 이종성(李宗城)이 찾아와서 법문을 듣고 감동하여 스님의 법석을 차마 떠날 수가 없어서 며칠 동안 머물다가 떠났다. 얼마 뒤 무주 구천동으로 자리를 옮겼는데, 어느 날 『원각경(圓覺經)』을 외우고 있을 때 큰 뱀이 나타나서 계단 아래 있었다. 그날 밤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 "화상의 설법의 힘을 입사와 고신(苦身)을 여의었습니다."라고 하였다.

광해군 때 지리산에 있었는데, 어떤 미친 승려가 무고하여 투옥되었다가 무죄로 판명되었다. 광해군이 내전으로 초빙하여 설법을 청하여 듣고 크게 기뻐하고, 대사에게 가사 등을 보시하였다. 1614년에 조계산에서 지리산 칠불암(七佛庵)으로 거처를 옮겼으며, 다음 해 7월 제자 각성(覺性)에게 부법(付法)하였다. 그해 11월 1일 목욕을 한 다음 임종게를 남기고 입적하였다. 나이 72세, 법랍 57세였다. 저서로는 『부휴당대사집』이 있다. 칠불사 운상선원 앞에 대사의 부도탑이 모셔져 있다.

부도탑
백암성총(栢庵性聰, 1631∼1700)

조선 중기의 고승. 호는 백암(栢庵). 성은 이씨. 남원출신. 13세에 순창 취암사(鷲岩寺)로 출가하였고, 1648년(인조 26) 지리산에 들어 가서 취미수초(翠微守初, 1590~1668) 밑에서 9년 동안 불경을 공부하여 그의 법을 이어받았다. 부휴선수의 정통 계보로서, 태고보우의 9대손이다.

1660년(현종 1)부터 순천 송광사, 낙안 징광사(澄光寺), 하동 쌍계사 등지에서 많은 학승들을 지도하면서 『치문경훈주』(緇門警訓註)를 간행하기도 했다. 1681년(숙종 7) 임자도에 표류 하다가 정박한 배에서 명나라 평림섭(平林葉)이 교간한 『화엄경소초』(華嚴經疏抄)·『대명법수』(大明法數)·『회현기』(會玄記)·『대승기신론기』(大乘起信論記)·『사대사소록』(四大師所錄)·『정토제서』(淨土諸書) 등 190권을 발견하고 1681(숙종 7)년부터 1696년(숙종 22)까지 낙안의 징광사에 머물면서 이들을 5,000개의 판(板)으로 만든 뒤, 인쇄하여 징광사와 쌍계사에 나누어 봉안하였다. 이 가운데서도 『화엄경소초』와 『회현기』의 합본 80권 간행에는 특별한 노력을 기울였다.

선종과 교종에 두루 통하였을 뿐 아니라 정토문에도 귀의하여 극락왕생을 염원하였다. 또한 그의 참선 공부법은 철저히 임제종의 종지를 따라 후학을 지도하였으며, 유학에도 조예가 깊어서 유학자들의 배불론에 대해서도 철저히 반론하였다.

1700년(숙종 26) 7월에 70세의 나이로 쌍계사 신흥암(神興庵)에서 입적 하였다. 열반에 든 뒤 연일 밤마다 상서로운 빛이 감돌더니, 7일째 되는 날 밤 다비식을 행할 때 그 빛이 확대되어 한줄기 빛이 남북에 뻗치었다고 한다. 그리고 3일이 지나 영골을 수습해 송광사와 칠불사에 나누어 탑을 세우고 봉안하였다. 저서로는 『정토보서(淨土寶書)』1책과 『치문집주(緇門集註)』3권, 『백암집(栢庵集)』2권, 『지험기(持驗記)』1책 등이 있다.